[인터뷰] 김노보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 "혼자만 행복할 수는 없다" > 재외동포뉴스

본문 바로가기
우리생활속의 하오천진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하오 라이프

재외동포뉴스 조회

[재외동포뉴스] [인터뷰] 김노보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 "혼자만 행복할 수는 없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10-13 00:00 | 1 | 0

본문

12년째 세이브더칠드런 이끌어…"어린이가 어린이 돕는 모습 뿌듯"

"어릴 때 전쟁 겪어 배고픈 기억 생생…우리가 받은 도움 돌려줘야"


12일 서울 마포구 창전동 세이브더칠드런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의 인터뷰에 응하고 있는 김노보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12일 서울 마포구 창전동 세이브더칠드런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의 인터뷰에 응하고 있는 김노보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어린이들이 다른 나라 친구들을 돕기 위해 달리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뿌듯합니다. 건강도 챙기고, 남도 돕고, 지구촌 문제도 함께 고민해보는 국제어린이마라톤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오는 15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평화광장에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 함께 국제어린이마라톤을 개최하는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의 김노보(72) 이사장은 "다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들어야 행복해질 수 있다"고 역설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대회 준비에 바쁜 틈을 내 12일 서울 마포구 창전동 사무실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난 김 이사장은 "어린 시절 6·25를 겪어 배고픈 설움을 잘 알고 있고 외국의 구호물자 도움도 많이 받았다"면서 "이제는 우리가 남한테 받은 도움을 되돌려줄 때"라고 강조했다.


식품업계에서 30년간 일하다가 2004년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감사로 선임된 그는 2006년 5월부터 회장을 맡아오다 2011년부터 이사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2009년 2월부터 2년간 86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의 회장을 지냈고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이사, 한국아동복지학회 부회장 등도 역임했다.


김 이사장에게 세이브더칠드런에 몸담게 된 동기, 긴급구호가 필요한 전 세계 아동 실태,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이 성장 비결, 국제어린이마라톤의 개최 취지와 준비 상황 등을 들어봤다.


-- 세이브더칠드런에서 일하게 된 된 계기는 무엇인가.


▲ 전임 이사장(이상대)과 친분이 있었다. 그분의 권유로 감사를 맡았다가 운영 책임까지 지게 됐다.


-- 평소에도 기부나 봉사에 관심이 많은 편이었나.


▲ 아내가 사회복지사여서 이 분야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자연스럽게 관심을 품게 됐다.


-- 1945년생 해방둥이여서 외국 구호단체의 도움을 받은 기억이 생생할 텐데, 이제는 도움을 주는 처지로 바뀌었다.


▲ 6·25 동란 때 부모님을 따라 소달구지를 타고 피란을 다녔다. 학교에서 분유 등 구호물자를 많이 나눠줘 배고픔을 면할 수 있었다. 지금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어려운 나라를 가보면 어릴 적 기억이 떠올라 가슴이 아프다. 세이브더칠드런 창립자 에글랜타인 젭이 "오늘 우리가 돕는 이가 내일 우리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바로 그런 사례다.


--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은 전 세계에 얼마나 되나.


▲ 지난 6월 세이브더칠드런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다섯 살 미만의 아동 네 명 가운데 한 명꼴로 영양실조에 걸려 있다. 모두 1억5천600만 명에 이른다. 또 매일 아동 1만6천 명이 5번째 생일을 맞기도 전에 숨진다. 설사나 폐렴 등 예방이나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어서 더 안타깝다. 내가 어린 시절 전쟁의 고통을 겪은 것처럼 지금 시리아와 예멘 아이들이 전쟁의 포화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아직도 2억6천300만 명은 학령기가 됐는데도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유엔이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세워 실행을 시작한 2000년에 5세 미만 영유아 사망자 수가 970만 명이었는데 15년 뒤 590만 명으로 40%나 줄였다.


-- 지금까지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를 이끌어오면서 뿌듯한 일이 많았겠다.


▲ 내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는 직원이 15명에 불과했다. 마포의 단독주택을 사옥으로 쓰다가 그것을 팔고 지금 이 자리에 땅을 사서 건물을 지었다. 건물을 짓기 전 컨테이너에서 일하던 시절도 있었다. 2005년 7층 건물을 준공해 처음에는 한 층만 쓰고 나머지는 임대했다가 이제는 우리가 다 쓴다. 상근 직원이 100명, 지부까지 합치면 150명이고, 산하시설 직원도 300명에 이른다. 규모만 커진 게 아니라 하는 일도 늘어났고 내실도 다졌다. 임직원과 후원자들의 도움에 감사드린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42
어제
40
최대
742
전체
15,247
하오천진
이메일 : iq9697@naver.com 연락처 : +86-1770-224-9951 주소 : kaixianghuayuan 1hao, shuishangxilu, nankaiqu, tianjin, china.
Copyright © Hao Tianjin. All rights reserved.
If you have any question or comments, contact to Webmaster.
TOP
상단으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