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감염이 태아 자폐증 유발"…동물실험서 첫 입증 > 재외동포뉴스

본문 바로가기
우리생활속의 하오천진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하오 라이프

재외동포뉴스 조회

[재외동포뉴스] "임신 중 감염이 태아 자폐증 유발"…동물실험서 첫 입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9-14 00:00 | 0 | 0

본문

美 MIT·하버드의대, 한국계 부부과학자 네이처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임신 중 감염이 자손에게 자폐증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한국계 부부과학자인 글로리아 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와 허준렬 하버드의대 교수 공동연구진은 "임신한 쥐가 미생물에 감염됐을 때 나오는 특정 면역물질이 새끼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자폐증이 유발됨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논문 두 편으로 나눠 실렸다. 두 논문의 1저자는 각각 임영신 MIT 박사와 김상두· 김현주 매사추세츠의대 박사(공동1저자)다.


임신부가 입원 치료를 받을 정도로 심각한 미생물 감염을 겪었다면 자폐증을 앓는 아이를 낳을 확률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임신 3개월 내 바이러스 감염은 자폐아 출산 가능성을 3배 높이고, 임신 6개월내 세균 감염은 이 가능성을 1.4배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하지만 이런 '현상'만 보고됐을 뿐, 실제로 임신 중 감염과 태아의 자폐증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는 베일에 싸여 있었다.


연구진은 임신한 쥐에서 면역반응 유도물질인 'IL(인터루킨)-17'이 뱃속 새끼 쥐의 뇌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새끼 쥐의 특정 뇌 부위(S1DZ)가 울퉁불퉁하게 발달했다. 이들은 태어난 뒤 같은 행동을 반복하거나, 다른 쥐에 비해 사회성이 떨어지는 등 사람의 자폐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


IL-17은 병원균의 침입에서 몸을 지키는 면역세포의 일종인 'Th17'(T헬퍼17)가 분비하는데, 특히 장 속 절편섬유상세균(Segmented Filamentous Bacteria) 감염이 있을 때 이 면역물질과 상관성이 컸다.


Th17 면역세포는 사람의 장에서도 발견된다. 연구진은 앞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세균감염과 자폐증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볼 계획이다.


한편 허준렬 교수와 글로리아 최 교수는 부부과학자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많은 시너지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허 교수는 "두 실험실 간 공동연구를 진행할 때 서로 이익을 따지기보다 지지와 격려를 보냈다"며 "연구 성공에 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두 사람의 전문분야가 면역학과 신경생물학으로 각각 다른데, 이번 연구와 같은 신경면역학(Neuroimmunology) 쪽 연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장점을 꼽았다. 


허준렬 하버드의대 교수(왼쪽)와 글로리아 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허준렬 하버드의대 교수(왼쪽)와 글로리아 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허준렬 교수 제공]


sun@yna.co.kr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5
어제
40
최대
742
전체
15,220
하오천진
이메일 : iq9697@naver.com 연락처 : +86-1770-224-9951 주소 : kaixianghuayuan 1hao, shuishangxilu, nankaiqu, tianjin, china.
Copyright © Hao Tianjin. All rights reserved.
If you have any question or comments, contact to Webmaster.
TOP
상단으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