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영어공부 어떻게 할까"… 영어학습 변천사 보며 다짐
본문
우리나라 첫 영어학교 '육영공원', '문법위주교육'은 일제강점기부터
- 1천만권 팔린 '성문종합영어', 1980년대 과외금지땐 '윤선생 오디오' 인기
"새해에는 영어공부 이렇게…" 연말 연초를 맞아 여러가지 신년 계획 중 영어공부도 단골로 등장한다. 학창시절부터 끊임없이 공부해왔지만, 영어와의 전쟁은 끝이 없다.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영어 학습은 어떻게 해야할까. 기술발달에 따른 영어학습 변천사를 보면서, 영어 공부의 동기를 찾아보면 어떨까.
◇ 우리나라 최초의 영어학교 '육영공원'
▲ 육영공원 수업모습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나라 최초의 영어학교는 1886년 고종 시절 설립된 '육영공원'이다. 1882년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맺으며, 미국의 선진문물을 보고 놀란 사절단이 고종에게 영어 공부의 필요성을 알려 설립하게 됐다. 육영공원에서는 40여 명의 학생이 지리, 수학, 역사 등 모든 과목을 영어로 배웠으며, 해외 명문대 출신의 원어민 교사를 채용해 회화 위주의 영어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비슷한 시기 서양 선교사들은 배재학당?이화학당 등 사립 학교들을 세워 신분의 높낮이나 성별에 구애 받지 않고 회화 중심의 영어 교육에 힘을 쏟는다. 당시 영어를 배운 조선 학생들은 일본, 중국에 비해 영어를 잘 구사하여 선교사들조차 감탄할 정도였다고 한다.
◇ '문법 위주 영어교육'… 일제강점기부터
문법 위주 영어교육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됐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조선의 영어교육은 거대한 변화를 맞는다. 영어 교사가 일본인으로 대거 교체되고 문법과 독해를 강조하는 일본식 교육으로 바뀌게 된 것. 학교엔 일본사람이 만든 영어책만 남게됐고 제대로 된 영어 발음을 배울 수 없어 조선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빠르게 퇴보한다. 일제강점기의 문법 위주 영어교육 방식은 해방 이후에도 이어져 외국인과 대화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영어 공포증' 현상의 시초가 됐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